인생의 목적
-
아름다운 이름을 남기자.교회력에 따른 본문 중심 설교 2013. 1. 2. 02:38
송구영신예배[20121231] 아름다운 이름을 남기자(전 7:1~4) 사막교부 마카리우스는 ‘언제나 내일 죽을 것처럼 살되, 앞으로도 살 날이 많은 것처럼 제 몸을 돌보아야한다’고 했습니다. 인생의 가치를 일깨어주는 교훈입니다. 오늘 송구영신예배를 드리며, 하나님이 우리 각자에게 주신 인생의 의미와 목적을 다시 한 번 되새겨보는 귀한 시간이 되길 원합니다. 전도서 1장 2절을 보면 ‘헛되고 헛되며, 헛되고 헛되니 모든 것이 헛되도다’라고 말씀합니다. 전도자는 무엇이 그렇게 헛되다고 하는 것일까요? 이는 모든 인생이 죽음으로 끝나고 만다는 사실 자체가 헛되다는 것입니다. ‘헛됨’이라는 히브리어 ‘헤벨’은 ‘숨, 증기’라는 의미로 인간 실존의 무상을 표현한 말입니다. 사람이 무슨 일을 하든지 모든 인생의 결..
-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삶교회력에 따른 본문 중심 설교 2011. 1. 4. 14:18
성탄절 후 제2주일[20110102]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삶(엡 1:7-14) 새해에도 하나님의 은혜 가운데 우리의 삶이 형통해지길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우리가 하는 일이 하나님의 기쁨이 되고, 하나님의 영광이 드러나길 원합니다. 여러분, 이 지구상에 먹지 못해 굶어서 죽는 사람들이 하루에 몇 명인지 아십니까? 전 세계 약 68억 인구 가운데서 매일 2만 5천 명의 사람들이 굶어 죽어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도 수만 명의 사람들이 전 세계 어느 곳에선가는 기아로 허덕이기고 있다는 것이 21세기 글로발 시대라는 오늘의 현실입니다. 저는 새해를 시작하며 이 시대의 복음 전도가 무엇인가 생각해 보았습니다. 예수님은 이 땅에서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전하셨습니다. 예수님은 가난한 자에게 기쁜 소식을 ..
-
하나님의 뜻을 이루는 인생이 됩시다.교회력에 따른 본문 중심 설교 2010. 9. 5. 23:59
성령강림절 제15주[20100905] 하나님의 뜻을 이루는 인생이 됩시다. (렘 18:1-12) 1. 우리는 하나님의 작품입니다. 3절, “내가 토기장이의 집으로 내려가서 본즉 그가 녹로로 일을 하는데” 토기장이가 혼신을 다해 도자기를 만들 듯 하나님은 우리 인생 한 사람 한 사람을 하나님의 기뻐하시는 모습으로 빚고 계십니다. 한 사람도 그냥 이 세상에 태어나는 법은 없습니다. 하나님의 섭리와 계획하심 속에 이 땅에 태어난 것입니다. 따라서 쓸모없는 인생이란 없습니다. 그럼에도 인생을 무의미하게 사는 사람은 자신이 하나님으로부터 온 존재라는 것을 모르기 때문이고, 이 땅에 태어나게 하신 인생의 목적을 모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인생을 살며 때로는 사람들의 비난과 일의 결과에 만족스럽지 못함으로 인해 낙심..
-
날마다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해 나갑시다.교회력에 따른 본문 중심 설교 2010. 2. 27. 22:30
사순절 제1주/졸업감사예배[20100221] 날마다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해 나갑시다.(눅 19:11-27) 오늘 졸업감사예배를 드리게 되어 먼저 하나님께 감사와 영광을 돌립니다. 그리고 이번에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를 졸업하고 새로운 학년으로 진학하게 되는 여러분에게 축하를 드립니다. 인생을 살다보면 오늘처럼 졸업식, 결혼식, 장례식 등을 경험합니다. 졸업식에 졸업생만 있는 것이 아니고, 결혼식에 결혼 당사자만 있는 것도 아닌데, 왜 그 자리에 함께 있는 것입니까? 모두 축하해주러 온 사람들입니까? 결혼식에 참석하는 하객 가운데 미혼인 사람은 결혼식을 보며 인생에서 만남이란 무엇인가를, 결혼한 사람은 자신의 결혼 생활을 되돌아보는 시간이 될 때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장례식에 참석하면서도 그 시간 세상..
-
인생의 목적교회력에 따른 본문 중심 설교 2009. 8. 3. 07:18
성령강림 후 제9주[20090802] 인생의 목적(요 6:22-40) 오늘 본문의 말씀 26절을 보면, 예수님께서 자신을 찾아 온 사람들에게 “너희가 나를 찾는 것은 표적을 본 까닭이 아니요 떡을 먹고 배부른 까닭이로다”라고 하셨습니다. 오늘은 예수님께서 이런 말씀을 하신 배경과 그 이유에 대해 함께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도대체 이전 날 무슨 일이 있었던 것입니까? 6장 처음을 보면 유명한 오병이어의 사건이 먼저 나옵니다. 예수님께서 나타내 보이신 이 이적을 보고 사람들은 예수님을 임금 삼으려 하였습니다. 왜냐하면 자신들의 육적인 만족을 채워주시는 분이기 때문에 우리의 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여기에 응하지 않으셨습니다. 왜 그렇습니까? 그것은 자신을 임금 삼으려 한 사람들의 근본 목..
-
열매 맺는 삶교회력에 따른 본문 중심 설교 2009. 4. 28. 12:33
부활절 제3주[20090426] 열매 맺는 삶(요 15:1-10) 1. 인생의 목적 우리가 이 땅에 태어나 인생의 흔적을 남긴다는 것이 하나님의 크신 은혜라는 것을 안다면 하루를 감사함으로 살 것입니다. 이런 사람은 오늘 나에게 주어진 하루를 무의미하지 않은 아름다운 일들로 채우고 싶을 것입니다. 지금까지 살아온 여러분의 삶은 어떻습니까? 아름다운 삶이었다고 생각하십니까? 저와 여러분의 삶이 아름다운 삶이었다고 평가되기를 원합니다. 그렇다면 아름다운 삶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아름다운 열매를 많이 맺는 것입니다. 본문 가운데 15장 8절에서는, “너희가 열매를 많이 맺으면, 내 아버지께서 영광을 받으실 것이요”라고 하였습니다.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우리 인생의 목적은 아름다운 열매를 많이 맺었느냐 그렇지..